Q : 결로방지필름판매
결로 방지 필름에 대해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합니다. 수명은 약 2년 정도의 제품,
롤 을 구입하고자 합니다. 롤의 규격과 가격은 어느 정도인지 부탁드려요.
답변 없음을 선택하셨습니다.
아래 두가지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 주세요.
10일간 다시 답변을 받겠습니다. 새로운 질문 리스트로 이동합니다.
질문을 삭제 하고 새롭게 등록 하겠습니다. 질문등록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10일간의 재답변 기간에도 원하는 답변이 없어 답변없음을 선택하게 되면 질문은 삭제 됩니다.
* 질문이 삭제되면 질문 등록시 받은 10점은 차감 됩니다.
답변 리스트
A : 결로방지필름판매
답변자 : shin2006eun l 2009-08-17 11:58 작성 태클달기 l 신고하기
유리 결로방지 필름 제안서
유리창 결로방지 방법은 우선 결로발생 이유를 알고 대처해야 되겠습니다.
결로발생 이유는 내외부 온도차가 첫번째이지만 전통 기와집처럼 환기가 잘 된다든지 집안에서의 목욕,식사등 강한 습기의 발생이 적으면 상당 부분이 줄어듭니다.
현재의 건축은 에너지절약,건축기술의 발달로 기밀유지와 실내에서의 음식준비,목욕 등으로 실내 습기의 과포하로 인해 확정형발코니에서는 거의 결로가 발생합니다.
본사 결로방지 필름은 국내 동진 세미컴 (국내 전자재료등 1위기업 ITO,ATO등)의 나노기술 과 일본의 SANSHO의 폴리에스터, 하드코팅,접착기술로 ITO,ATO를 립방식으로 필름 표면에 금속입자를 코팅하여 생산된 제품으로 (원래 케미컬 제품은 수명이 짧음) 반영구적인 기능성 필름으로 제품화한것입니다.
본사 기능성 필름은 일본 JIS통과 제품입니다.
결로방지 필름을 유리에 부착하면 습기가 모여 비가 되듯이 필름면에 물이 못뭉치게 하는것과 실내열을 필름이 흡수하여 습기를 빨리 방출하는 원리입니다.
(02)3444-0002
3M단열,방범필름총판 (주)휠코리아
www.whilkor.com
부산,경남 총판 씨에프텍
(051) 894 - 44여기서 구입 하세요
http://www.silre.com/shop/prd_view.php?prdcode=0910060001&PHPSESSID=73cbb9d757617f70390c936812ff719d
무적비닐 : http://www.plastar.co.kr/peflim/01_02.html
2010년 8월 13일 금요일
"식품 곰팡이 독소 분리기술 개발"
농식품부 "식품 곰팡이 독소 분리기술 개발"
연합뉴스 | 입력 2010.08.13 09:32 | 수정 2010.08.13 12:32
(서울=연합뉴스) 이강원 기자 =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13일 자성을 띠는 실리카 나노물질과 곰팡이 독소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해 사료와 식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을 10분 이내에 동시에 분리.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검역원은 "이번 기술은 최근 2년 동안 서울대 화학과 이진규 교수팀과 공동연구해 개발한 것"이라며 "검역원에서 곰팡이 독소 특이항체를 생산한 뒤 서울대에서 제작된 나노물질과 결합시켜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을 활용해 향후 곰팡이 독소를 정제할 수 있는 저가의 장치가 실용화하면 현재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면역친화정제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고 검역원은 내다봤다.
gija007@yna.co.kr
(끝)
----------------------------------------------------------------------------------
노컷뉴스 | 입력 2010.08.13 10:45
[CBS경제부 곽인숙 기자]
식품 및 사료에서 곰팡이 독소를 10분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13일 자성을 띠는 실리카 나노물질과 곰팡이 독소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해 사료와 식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을 10분 이내에 동시에 분리.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검역원은 "이번 기술은 최근 2년 동안 서울대 화학과 이진규 교수팀과 공동연구해 개발한 것"이라며 "검역원에서 곰팡이 독소 특이항체를 생산한 뒤 서울대에서 제작된 나노물질과 결합시켜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cinspain@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합뉴스 | 입력 2010.08.13 09:32 | 수정 2010.08.13 12:32
(서울=연합뉴스) 이강원 기자 =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13일 자성을 띠는 실리카 나노물질과 곰팡이 독소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해 사료와 식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을 10분 이내에 동시에 분리.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검역원은 "이번 기술은 최근 2년 동안 서울대 화학과 이진규 교수팀과 공동연구해 개발한 것"이라며 "검역원에서 곰팡이 독소 특이항체를 생산한 뒤 서울대에서 제작된 나노물질과 결합시켜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을 활용해 향후 곰팡이 독소를 정제할 수 있는 저가의 장치가 실용화하면 현재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면역친화정제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고 검역원은 내다봤다.
gija007@yna.co.kr
(끝)
----------------------------------------------------------------------------------
노컷뉴스 | 입력 2010.08.13 10:45
[CBS경제부 곽인숙 기자]
식품 및 사료에서 곰팡이 독소를 10분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13일 자성을 띠는 실리카 나노물질과 곰팡이 독소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해 사료와 식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을 10분 이내에 동시에 분리.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검역원은 "이번 기술은 최근 2년 동안 서울대 화학과 이진규 교수팀과 공동연구해 개발한 것"이라며 "검역원에서 곰팡이 독소 특이항체를 생산한 뒤 서울대에서 제작된 나노물질과 결합시켜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cinspain@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0년 7월 28일 수요일
Encapsulation of ethanol by spray drying technique: effects of sodium lauryl sulfate
Encapsulation of ethanol by spray drying technique: effects of sodium lauryl sulfate
Kim CK Seoul Natl Univ, Coll Pharm San 56-1,Shinlim Dong,Kwanak Gu Seoul 151742 South Korea Seoul Natl Univ, Coll Pharm Seoul 151742 South Korea
Lee SW, Kim MH, Kim CK
Microcapsules composed of ethanol, water and dextrin as a water-soluble polymer can be used to encapsulate poorly water-soluble drugs by splay drying technique. For the encapsulation of a high dose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large amounts of ethanol and consequently large quantities of dextrin are needed for the dissolution of drug and the encapsulation of ethanol,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ethanol content with the decreased amount of dextrin. sodium lauryl sulfate (SLS) was employed in the preparation of microcapsules without drug by a spray drying method. Phase diagrams were prepared to determine the region of microcapsule formation with a three-component system of ethanol, dextrin and water. The homogeneous phase indicated in the phase diagram was used to prepare the alcoholic microcapsules since this phase was not separated rapidly and not too viscous to be spray-dried. Interestingly, SLS at concentrations below 2% remarkably increased both the ethanol content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ethanol, The maximum ethanol content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were observed with 0.5-1% of SLS (35.4 and 67.6%,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increase by SLS was more pronounced at the low dextrin/water ratios than at the high dextrin/water ratios. In particular, the ethanol content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with the dextrin/ethanol/water ratio of 0.4/1/1, which had relatively small amounts of dextrin, were about ten times higher in the presence of SLS than those without SL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mall amounts of SLS can increase the ethanol content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ethanol, and allow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dextrin required to encapsulate ethanol in the preparation of microcapsu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SLS may permit the effective encapsulation of high dose of water-insoluble drug into microcapsules. (C) 1999 Elsevier Science B.V. All rights reserved. [References: 9]
기본적인 원리 설명
1) 물+덱스트린+에탄올로 구성된 마이크로 캡슐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약품의 encapsulation에 이용되는데, 이 microcapsule은 spray drying 방식에 의해 만들 수 있다.
2) 그런데, SLS(sodium lauryl surfate)를 소량추가하면 dextrine을 소량 넣고서도 ethanol을 많이 포함시키면서 encapsulation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논문은 LG 상암 도서관에 있음.
Kim CK Seoul Natl Univ, Coll Pharm San 56-1,Shinlim Dong,Kwanak Gu Seoul 151742 South Korea Seoul Natl Univ, Coll Pharm Seoul 151742 South Korea
Lee SW, Kim MH, Kim CK
Microcapsules composed of ethanol, water and dextrin as a water-soluble polymer can be used to encapsulate poorly water-soluble drugs by splay drying technique. For the encapsulation of a high dose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large amounts of ethanol and consequently large quantities of dextrin are needed for the dissolution of drug and the encapsulation of ethanol,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ethanol content with the decreased amount of dextrin. sodium lauryl sulfate (SLS) was employed in the preparation of microcapsules without drug by a spray drying method. Phase diagrams were prepared to determine the region of microcapsule formation with a three-component system of ethanol, dextrin and water. The homogeneous phase indicated in the phase diagram was used to prepare the alcoholic microcapsules since this phase was not separated rapidly and not too viscous to be spray-dried. Interestingly, SLS at concentrations below 2% remarkably increased both the ethanol content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ethanol, The maximum ethanol content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were observed with 0.5-1% of SLS (35.4 and 67.6%,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increase by SLS was more pronounced at the low dextrin/water ratios than at the high dextrin/water ratios. In particular, the ethanol content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with the dextrin/ethanol/water ratio of 0.4/1/1, which had relatively small amounts of dextrin, were about ten times higher in the presence of SLS than those without SL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mall amounts of SLS can increase the ethanol content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ethanol, and allow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dextrin required to encapsulate ethanol in the preparation of microcapsu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SLS may permit the effective encapsulation of high dose of water-insoluble drug into microcapsules. (C) 1999 Elsevier Science B.V. All rights reserved. [References: 9]
기본적인 원리 설명
1) 물+덱스트린+에탄올로 구성된 마이크로 캡슐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약품의 encapsulation에 이용되는데, 이 microcapsule은 spray drying 방식에 의해 만들 수 있다.
2) 그런데, SLS(sodium lauryl surfate)를 소량추가하면 dextrine을 소량 넣고서도 ethanol을 많이 포함시키면서 encapsulation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논문은 LG 상암 도서관에 있음.
2010년 4월 28일 수요일
그래핀 납신다, 실리콘 비켜!

그래핀 납신다, 실리콘 비켜!
한겨레 | 입력 2010.04.27 21:00 | 수정 2010.04.28 10:30 | 누가 봤을까? 30대 남성, 대전
[한겨레] 전도율·유연성 뛰어나 미래의 첨단 소재로 각광
실리콘반도체보다 100배 이상 빠르고 강도 탁월
2004년 영국 연구팀이 발견…세계 물리학계 화두
* 그래핀 : 2차원 '탄소원자종이'
세계 물리학계 화두는 '그래핀'이다. 그래핀은 2004년 발견된 탄소원자인데 2차원 평판 구조로, 실리콘을 대체할 꿈의 소재로 여겨진다. 지난 21~24일 대전에서 열린 한국물리학회 춘계학술대회의 한·중 심포지엄 주제도 그래핀이었다. 올 2월 아이비엠은 그래핀으로 작동하는 100기가헤르츠(㎓) 전자소자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국내의 세계적 그래핀 연구 성과도 잇따른다. 김상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누르면 전기가 통하는 피에조압전소자를 개발했으며, 홍병희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는 30인치짜리 대면적 그래핀의 제작을 보고했다.
물리학계의 그래핀에 대한 관심은 계속 이어진다. 지난 3월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도 빅 이슈였고, 이번주에는 미국재료학회의 '그래핀위크'가 열리고 있다. 스웨덴 왕립학회는 다음달 말 세계 석학 20명만 초대하는 차세대 나노회의를 연다. 국내에서는 그래핀 전문가인 홍병희 교수와 손영우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가 초대됐다. 6월에는 유럽재료학회가 열리며, 7월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제반도체물리학회의 주제도 그래핀으로 정해졌다. 8월에는 중국 물리학회 주관으로 한·중 심포지엄이 열리고, 싱가포르에서도 그래핀 국제회의가 마련된다. 국내에서 해마다 가을에 여는 다산국제콘퍼런스의 주제에도 그래핀이 포함될 전망이다. 요즘 물리학계 열 명 가운데 한 명은 그래핀을 연구한다고 한다. 그래핀 연구자들 사이에는 "학회 좀 그만하고 연구 좀 하자"는 '행복한' 우스개가 오간다.
■ 왜 그래핀인가? 정현식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는 "쉽게 말하면 차세대 소자의 신소재로 각광받았던 탄소나노튜브는 금속성질을 가진 것과 반도체 성질을 가진 것을 골라내는 데 어려움이 있던 반면 그래핀은 자르고 싶으면 자르고 깎고 싶으면 깎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래핀은 2004년 영국 맨체스터대의 안드레 가임 교수 연구팀이 처음 발견했다. 과학자들이 70년 동안 찾아오던 물질은 허무할 정도로 간단하게 제작됐다. 연구팀은 스카치테이프로 흑연에서 원자 한 층씩 떼어냈다. 그래핀은 흑연, 다이아몬드, 풀러렌 등과 마찬가지로 탄소로 이뤄진 '형제 물질'(동소체)이지만, 지름 0.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의 원소 한 층으로만 이뤄진 '얇은 종이'여서 물성이 전혀 다르다. 그래핀이 주목받는 것은 높은 전자 이동도 때문이다. 실리콘 반도체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 강도도 탄소나노튜브 등 어느 나노물질보다 강하다. 무엇보다 플라스틱 랩처럼 잘 휠 수 있고 투명한데다 열 전도율도 뛰어나 미래의 초소형 장치에 천혜의 물질로 여겨진다.
아직 갈 길은 멀다. 안종현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단결정이어야 소자를 만들면 구동률을 100% 가까이 올릴 수 있는데 다결정이 섞여 나오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정현식 교수도 "트랜지스터로 작동하려면 반도체처럼 밴드갭이 있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 구실을 해야 하는데 이 부분의 컨트롤이 아직 미흡하다"고 했다.
■ 국내 연구 성과 잇따라 그래핀의 국내 연구는 활발하다. 김상우 교수와 최재영 삼성종합기술원 수석연구원 공동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누르거나 당기면 저절로 전기가 생기는 피에조압전소자를 만들어 최근 국제 학술지 <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 인터넷판에 논문을 게재했다. 피에조는 '누르다'라는 뜻의 그리스어다. 피에조 소자는 그동안 산화 인듐 주석(ITO)이 주로 쓰였으나, 세라믹이라서 잘 깨지는데다 인듐 가격이 오르고 광산이 중국에만 있다는 문제로 학계는 대체물을 찾아왔다. 연구팀은 아이티오 대신 그래핀을 사용했다. 실리콘 기판 위에 그래핀 박막을 만든 뒤 여기에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성장시켰다. 그래핀은 탄소로 이뤄졌지만 단원자층이어서 투명도가 90%가 넘는다. 김상우 교수는 "투명하고 유연한 발전소자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전자 장치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 네이처 > 에 지름 10㎝의 대면적 그래핀 제작을 보고해 주목을 받았던 홍병희 교수 연구팀은 이번에는 30인치짜리를 만들고 이를 실용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곧 주요 국제학술지에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공식 SNS 계정: 트위터 www.twitter.com/hanitweet / 미투데이 http://me2day.net/hankyoreh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드 구독하기:
글 (Atom)